분류 전체보기 (137) 썸네일형 리스트형 [25년 6월 11일] 좋은 물가지표에도 하락 대다수 경제학자들이 물가가 오를 것이라 생각했으나 5월 물가는 그닥 오르지 않았다 미중 2차협상은 11일 마무리 되었는데, 정확히 무슨일이 있었는지는 발표되지 않았다. 물가가 낮았지만 대형 소매점이 무료 배송 정책을 폐지하고 있다는 기사와 자동차 회사들이 재고가 바닥날 때까지는 가격을 올리지 않으려 한다는 기사가 있었다. 물가가 오르지 않고 있지만 리스크는 존재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뉴스언론은 5월 데이터도 관세로 인한 물가를 반영하기에는 너무 이르다는 반응이 많았다. 5월 미국 소비자물가 요약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2.4% 상승, 예상치(2.5%)보다 낮고, 최근 상승세를 다소 반전시킴전월 대비 CPI는 0.1% 증가, 예상치 0.2%보다 낮음**코어 CPI(식품·.. [25년 6월 9일] 미중 무역 협상은 언제 될까 예상했던 것 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있는 무역협상은 주식시장을 사실상 멈추게 만들었다. 수요일은 물가지표가 나오기 때문에 시끄러운 한 주가 될듯 하다. 지수와 거래량Dow Jones - 전일 대비 거래량 변화: 17.19%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13.60%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23.69% Nasdaq - 전일 대비 거래량 변화: 20.93%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35.52%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18.50% S&P 500 - 전일 대비 거래량 변화: -33.81%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41.27%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44.77% 미국 채권 이자율 달러 인덱스CurrencyLatestDay3M6M12MUSD Index.. [25년 6월 6일] 좋은 고용지표, 트럼프 시위 진압 고용지표가 좋게 나와 상승세를 이어갈 동력이 생겼다. 물가지표도 좋게 나온다면 큰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다. 11일 12일 각각 소비자, 생산자 물가 지수가 발표될 것이다. 그런데 LA에 시위가 생기면서 약간 주의해야 할 필요성도 생겼다. 뉴스이번 고용지표 호조는 대다수가 예상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좋았다고 평가된다. 트럼프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노동시장 참여율이 저조하다.'는 말을 했으나 전반적으로 나쁘지 않았다는 것에는 대부분 동의하였다. Jobs Report 이후 시장 전망시장 상황S&P 500은 2월 고점 대비 2.3% 하락했고, ‘Magnificent 7’도 8.9% 하락 수준까지 회복.4월 초 저점 이후 주식은 반등했으며,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는 줄어들었음. 주요 경기 침체 지표 점검1.. [25년 6월 5일] 중요한 지표를 앞두고 트럼프와 머스크의 갈등으로 하락 일론 머스크가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안을 비난하면서 생긴 갈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에 주가는 하락했다. 그래도 오늘은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 실업률 데이터가 나오기 때문에 실업률이 시장을 지배할 것으로 전망된다. 뉴스Trump, Musk feud explodes with threats of cutting contracts, backing impeachment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의 관계가 격렬한 공개 충돌로 악화되었습니다.트럼프는 머스크의 정부 계약을 끊겠다고 위협했고, 머스크는 트럼프의 탄핵까지 언급하며 정면으로 맞섰습니다.주요 내용: 트럼프는 머스크의 정부 보조금 및 계약 종료를 언급하며 예산 절감을 주장.이에 따라 테슬라 주가는 14.3% 급락, 시가총액 1,500억 달러 증발.머.. [25년 6월 4일] 신규 취업자 하락에도 상승, 채권시장은 강세 신규 취업자가 하락했다는 의미는 경제가 악화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채권 매수세가 강하게 들어왔고 금리 하락을 기대하며 주가가 올랐다. 그러나 좋은 상황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거래량은 계속 감소하고 전체 주식의 상승보다 하락이 많았기 때문이다. 금요일 실업률 발표 전까지는 주가가 제멋대로 움직일 것이므로, 실업률 통계를 기다리는 것이 좋겠다. 지수와 거래량Dow Jones - 전일 대비 거래량 변화: -18.80%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27.08%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35.85% Nasdaq - 전일 대비 거래량 변화: -3.69%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43.81%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28.70% S&P 500 - 전일 대비 거래량 변화:.. [25년 6월 3일] 거래량은 낮지만, 단기 랠리 중 첫 번째 고용지표인 '총 구직자 수'가 예상을 뛰어넘어 주가 상승에 기여했다. 그러나 실업률과의 괴리는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공장 주문은 예상치를 하회하였다. 철강 관세는 50%를 부과하여 트럼프가 본인이 TACO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 얼마나 지속될지는 의문. 뉴스미국 국채 시장 경고, 이번엔 진지하게 들어야 할 때 - WSJ 미국의 부채 위기에 대한 경고가 다시 고조되고 있다. 과거에도 반복적으로 제기되었던 “미국 파산론”은 번번이 빗나갔지만, 이번엔 상황이 심각하다는 의견이 월가 인사들 사이에서 늘고 있다. JP모건 CEO 제이미 다이먼은 “곧 국채 시장에서 금이 갈 것”이라며 위기를 경고했고, 헤지펀드 매니저 레이 달리오는 미국 경제에 “3년 내 심장마비급 위기”가 올 수 있다고 예측.. [25년 6월 2일] 주식은 상승, 지표는 하락 미국이 중국과 합의를 원한다는 소식에 주가는 상승했으나, 미국 국채와 달러는 약세를 보였다. ISM 제조업 지수는 하락하였는데, 이는 중국과의 무역 문제가 재점화 될 가능성이 높아 제조업 회사들이 두려워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거래량은 매우 낮은 수준이었고, 달러 가치가 하락하는 것은 절대 좋은 현상이 아니다. 뉴스미국 제조업 활동, 5월에도 위축 지속 – ISM 발표 (WSJ) 미국 제조업 경기가 5월에도 위축세를 이어갔다. 공급관리협회(ISM)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월 48.7에서 5월 48.5로 하락했다고 밝혔다. 이는 11월 이후 최저치이며, 50 미만이면 경기 위축을 의미한다. 트럼프 행정부의 불확실한 무역정책이 제조업 심리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신규 주문과 주문 잔고는.. [25년 5월 30일] 무역 갈등을 재점화 했으나 TACO 트레이드를 예상하고 반응이 없는 시장 장 초반,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이 무역 협정을 위반하고 있다."는 글을 올리며 주가를 떨구었으나, 이번에는 트럼프가 언제나 말을 바꾼다는 것을 알게 된 투자자들이 주가를 끌어올려 하락폭을 막았다. 중국이 희토류를 제대로 수출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 불만을 가진 것으로 보이는데, 희토류 때문에 미국이 중국과 무역전쟁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시장이 잠잠하자 트럼프는 장 마감 후에는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를 50%로 높이겠다고 말했다. 뉴스Trump Says Steel, Aluminum Tariffs Will Double to 50% – WSJ 트럼프 대통령은 펜실베이니아주 웨스트 미플린의 유세에서 수입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50%로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조치는.. [25년 5월 29일] 돌아온 관세에 침체된 시장 전일, 미국 법원이 관세에 제동을 걸었으나 항소심이 나오기 전까지는 관세를 부과하도록 했다. 장 초반은 크게 상승했으나 많이 내려간 상태에서 마감되었고 선물시장은 하락 중이다. 오늘은 PCE 물가지수가 나오는 날이다. 그러나 CPI에서 이미 확인했듯, 미국의 4월 물가는 그다지 오르지 않은 것으로 보이므로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할 듯. 뉴스아시아의 미국 자산 투자 전략이 흔들리고 있다 - 블룸버그 수십 년간 아시아의 수출국들은 미국에 수출한 수익을 미국 자산(주식, 국채 등)에 투자해 왔다. 이 전략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 변화와 미국 내 정치·재정 불안정으로 인해 큰 전환점을 맞고 있다.핵심 요인:트럼프의 정책 변화:높은 관세 부과, 제조업 복귀 강조, 환율 조작국 감시 강화 등으로 아시아 국가들의.. [25년 5월 28일] 미국 법원이 고율 관세에 제동을 걸다. 엔비디아의 실적이 좋게 나왔고, 미국 법원이 7월 9일로 유예된 관세안이 위법이라고 판결하면서 선물시장은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만드는 불확실성은 끝난 게 아니므로 조심할 필요는 있다. 자존심이 많이 상한 트럼프가 앞으로 어떻게 반응할 지가 중요하다. 뉴스독일, 구글·페이스북 등 온라인 플랫폼에 10% 디지털세 추진 - 루이터 독일 문화부 장관은 구글(알파벳), 페이스북(메타) 등 대형 온라인 플랫폼에 10%의 디지털세 부과 법안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해당 법안은 외국 IT 기업들이 독일에서 막대한 수익을 올리면서도 세금을 거의 내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습니다.장관은 기업들과 자발적 기여 방안도 협의 중이지만, “교묘한 탈세”를 비판하며 법제화 의지를 드러냈습니다.이미 영국,.. 이전 1 2 3 4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