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지표가 좋게 나와 상승세를 이어갈 동력이 생겼다.
- 물가지표도 좋게 나온다면 큰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다.
- 11일 12일 각각 소비자, 생산자 물가 지수가 발표될 것이다.
- 그런데 LA에 시위가 생기면서 약간 주의해야 할 필요성도 생겼다.
뉴스
이번 고용지표 호조는 대다수가 예상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좋았다고 평가된다. 트럼프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노동시장 참여율이 저조하다.'는 말을 했으나 전반적으로 나쁘지 않았다는 것에는 대부분 동의하였다.
Jobs Report 이후 시장 전망
시장 상황
- S&P 500은 2월 고점 대비 2.3% 하락했고, ‘Magnificent 7’도 8.9% 하락 수준까지 회복.
- 4월 초 저점 이후 주식은 반등했으며,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는 줄어들었음.
주요 경기 침체 지표 점검
1. 신용 스프레드
- Baa등급 회사채 스프레드는 4월 저점 대비 축소됨 → 침체 위험 완화 신호
2. 금융 여건 (NFCI)
- 시카고 연은의 NFCI는 금융 긴축이 완화되고 있음 → 침체 가능성 낮아짐
3. 경기 민감주 성과
- 경기 민감주가 방어주보다 더 좋은 성과 → 성장 우려 완화
4. 수익률 곡선
- 10년–2년 금리차는 최근에 가파르게 회복 중 → 현재 역전 상태 아님 → 침체 예측력은 높지만 시차가 존재
5. 노동 시장
- 실업수당 청구는 다소 증가했지만 급격한 악화는 아님.
- 5월 일자리 증가(13.9만)는 예상보다 소폭 높았고, 실업률은 4.2%로 유지.
- 핵심 연령층 고용률은 정체~하락세 → 노동시장이 약화되고 있으나 붕괴 수준은 아님
기대심리 및 전망
- 2025년 침체 확률에 대한 베팅 시장의 확률 급락 → 시장은 낙관적
- 단기적으로는 무역전쟁 재점화가 주요 리스크
- **물가 지표(CPI)와 소비자 심리 지표(미시간대 조사)**가 이번 주 중요 이벤트
오늘의 이벤트
고용지표는 예상보다 호조였고, 실업률은 예상치 4.2%로 전월과 동일했다.
고용에는 아직 타격이 없는 것으로 보이며, 이번 주 물가지표 역시 중요하다.
지수와 거래량
좋은 지표였으나 거래량이 매우 나빴다. 이는 물가지수의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일 수 있다. 물가 데이터는 완전히 미궁 상태이며 시장에 어느 방향이든 큰 충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Dow Jones
- 전일 대비 거래량 변화: -22.20%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25.53%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34.88%
Nasdaq
- 전일 대비 거래량 변화: -16.97%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46.68%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32.51%
S&P 500
- 전일 대비 거래량 변화: -14.46%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12.83%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17.04%
미국 채권 이자율
달러 인덱스
Currency | Latest | Day | 3M | 6M | 12M |
USD Index | 98.9311 | -0.26% | -4.52% | -7.51% | -5.91% |
USD/KRW | 1354.48 | -0.01% | -6.65% | -5.22% | -1.42% |
USD/JPY | 144.187 | 0.45% | -2.60% | -5.29% | -8.18% |
EUR/USD | 1.1419 | -0.30% | 4.63% | 8.68% | 6.08% |
USD/CNY | 7.1795 | 0.06% | -1.10% | -1.12% | -0.93% |
USD/CHF | 0.8207 | 0.18% | -7.10% | -7.08% | -8.46% |
결론
잘 된다 싶으면 난리를 일으키는 트럼프 행정부 때문에 골치가 아프다. 앞으로 있을 중국과의 무역회담과 물가 지표가 이번 주를 움직일 것이다. LA 시위 문제는 기사가 나오는 대로 확인하고 있으나 아직 큰 문제는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현재 선물시장이 크게 움직이지 못하고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원인이다.
'시장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6월 11일] 좋은 물가지표에도 하락 (5) | 2025.06.12 |
---|---|
[25년 6월 9일] 미중 무역 협상은 언제 될까 (2) | 2025.06.10 |
[25년 6월 5일] 중요한 지표를 앞두고 트럼프와 머스크의 갈등으로 하락 (4) | 2025.06.06 |
[25년 6월 4일] 신규 취업자 하락에도 상승, 채권시장은 강세 (2) | 2025.06.05 |
[25년 6월 3일] 거래량은 낮지만, 단기 랠리 중 (7) | 2025.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