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2)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5년 1월 15일] 대박은 아니지만, 소비자 물가 지수에 안도한 시장 1. 오늘의 경제 지표[나쁘지 않은 소비자물가지수] 핵심 소비자 물가지수(식료품과 에너지 가격 제외)는 전월 대비 0.2% 상승하면서 시장에 안도감을 주었습니다. 그러나 전체 지수는 전년 대비 2.9%로 상승하면서 연준의 기조인 2% 목표를 충족시키기는 힘든 수준입니다. 보험과 주택 임대 가격 상승이 축소되었으나 아직 높은 편이어서 체감하는 물가는 여전히 높습니다. [실질임금은 감소] 실질임금은 0.1% 감소했고 예상치를 하회하였습니다. [뉴욕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변동성도 높고 예측도 많이 비껴가는 지수입니다. 아무튼 예측치 2.7, 이전치 2.1 이었으나 -12.6이라는 나쁜 결과가 나왔습니다. 일반적으로 0을 기준을 하여 0보다 높으면 제조업이 긍정적, 낮으면 부정적이라고 평가.. [2025년 1월 14일] 예상보다 좋은 생산자 물가. 이번에는 소비자 물가를 주목해야 1. 오늘의 경제지표[생산자물가지수 호재] 전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했으나, 생산자물가지수는 0.2%로 전월대비 0.4%보다 낮은 값을 보여주었습니다. 전반적인 생산자 물가는 하락했습니다. 가장 크게 상승한 항목은 재화 항목의 에너지 가격이었고, 가장 크게 감소한 항목은 서비스 항목의 여행 관련 부분이었습니다. 주택관련 서비스에서도 하락이 있었습니다. 이외의 항목은 11월과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소비자 물가지수를 예측하기 매우 어렵고, 생산자가 소비자에게 가격을 전가했는지 여부는 결과가 나와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IBD(윌리엄 오닐의 신문) 경제 낙관지수 예측치 하회] 51.9로 전월 54와, 예측치 55보다 낮았습니다. 50 이상이면 현재 경기를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높다는 뜻입니.. [2025년 1월 13일] "캘리포니아 산불로 인한 희비" 1. 방향성[미국 캘리포니아 대형 산불에 대한 영향 1월 13일]: 보험관련 부분에서 하락이 있었습니다. 재난 상황에서도 투자자들은 상승 종목을 열심히 찾았습니다. 기초 원자재, 주택 건설 등에서 상승이 있었습니다. 이외에도 어떤 종목이 수혜를 볼 지 생각해 봅니다. 2. 발표될 지수미국 생산자 물가지수: 한국시간 화요일 밤 10시 30분예측치는 전월과 동일한 0.4%예상보다 상승 시 채권 금리와 달러가 상승할 수 있고 하락 시 나스닥과 같은 시장은 상승 가능성이 전망 됩니다. 개인적 의견으로는 생산자 물가가 하락하기 어렵습니다. ISM제조업 비제조업 모두 생산자 물가가 올랐기 때문입니다. 3. 지수의 변동과 거래량2025년 01월 13일Dow Jones 지수는 0.86% 상승 했습니다.Nasdaq..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