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7) 썸네일형 리스트형 [25년 1월 CPI] 물가는 상승, 경제는 악화 최악의 시나리오 2월 12일에 발표된 미국 CPI는 예상치를 초과했으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GDP가 감소중인데, 소비자 물가가 상승하는 스태그 플레이션의 공포가 주식시장을 덮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 월간 변동: 1월 CPI는 계절 조정 기준 0.5% 상승, 전월(0.4%) 대비 증가. • 연간 변동: 지난 12개월간 CPI는 3.0% 상승(전월 2.9%). • 주요 상승 요인: • 주거비(Shelter): 0.4% 상승, 전체 CPI 상승분의 약 30% 차지. • 에너지: 1.1% 상승 (휘발유 1.8% 증가). • 식품: 0.4% 상승 (가정 내 식품 0.5%, 외식 0.2% 증가). • 근원 CPI(식품·에너지 제외): 0.4% 상승, 자동차 보험·레크리에이션·중고차·의료비·통신·항공료 상승. .. [25년 2월 11일] 물가지표를 앞두고 잠잠한 시장 한국시간 수요일 오후 10시 30분에 발표되는 소비자 물가지수는 시장을 뒤흔들 것으로 예상된다. 거래량에서 큰 감소가 있었으며 주가의 변화도 거의 없는 날이었다. 오늘 이벤트제롬 파월은 물가가 때문에 이자율을 낮추기 어렵다고 말하면서 채권 금리를 높였다. 이는 소비자 물가지수 역시, 하락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려주는 발언이었다. 내일 이벤트소비자물가지수 중요도 ★★★★★예측치는 코어 물가지수 상승, 전체 물가지수는 하락을 예상하고 있다. 에너지 가격이 하락했으나, 식품 물가가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수와 거래량 Dow Jones: 0.28%(-9.62%) Nasdaq: -0.36%(-7.81%) S&P 500: 0.03%(-39.19%) Dow Jones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27... [25년 2월 10일] 대형투자자의 떠넘기기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오늘은 시간부족 관계로 정리만 간단히) 1. Dow Jones, S&P 500 거래량 감소 & 주가 상승 • Dow Jones: 주가 상승 (+0.38%) but 거래량 감소 (-10.48%) • S&P 500: 주가 상승 (+0.67%) but 거래량 급감 (-42.44%) • 👉 대형 기관이 점진적으로 매도하고 있을 가능성 2. Nasdaq 거래량 증가 & 주가 상승 • Nasdaq: 주가 상승 (+0.98%) & 거래량 증가 (+17.66%) • 👉 개인 투자자들이 Nasdaq(기술주) 매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가능성이 높음. • 대형 기관이 이미 팔고 떠난 시장을 개인 투자자가 받는 패턴일 가능성 3. VIX 하락 (시장 안정성 신호?) • VIX 15.81로 2년 평균(15.92)..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