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간 수요일 오후 10시 30분에 발표되는 소비자 물가지수는 시장을 뒤흔들 것으로 예상된다.
거래량에서 큰 감소가 있었으며 주가의 변화도 거의 없는 날이었다.
오늘 이벤트
제롬 파월은 물가가 때문에 이자율을 낮추기 어렵다고 말하면서 채권 금리를 높였다. 이는 소비자 물가지수 역시, 하락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려주는 발언이었다.
내일 이벤트
소비자물가지수 중요도 ★★★★★
예측치는 코어 물가지수 상승, 전체 물가지수는 하락을 예상하고 있다.
에너지 가격이 하락했으나, 식품 물가가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수와 거래량
Dow Jones: 0.28%(-9.62%)
Nasdaq: -0.36%(-7.81%)
S&P 500: 0.03%(-39.19%)
Dow Jones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27.53%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17.09%
Nasdaq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16.75%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14.29%
S&P 500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39.09%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35.83%
나스닥을 제외하면 거래량이 매우 낮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좋지 않은 신호임.
빅스지수는 S&P 지수가 상승한 것과 반대로 1.4% 상승하였다.
상승과 하락 종목
상승 종목 수: 2521
하락 종목 수: 3073
변화 없는 종목 수: 289
주식시장이 대체로 상승했는데, 하락종목이 더 많다는 것은 좋은 신호가 아님
결론
물가지수를 앞두고 관망하는 모습이 보였으며,
방어적 섹터(소비재, 유틸리티, 에너지) 강세 / 기술·성장주 약세인 모습을 보였다.
'시장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2월 19일] 묵묵한 시장? 속은 점점 나빠지고 있다. (0) | 2025.02.20 |
---|---|
[25년 2월 12일] 물가지표 악화, 거래량은 계속 감소 (0) | 2025.02.13 |
[2025년 2월 7일] 좋지않은 지표에 3대지수 모두 하락 (1) | 2025.02.08 |
[2025년 02월 04일] 반등했지만 조심스러운 모습 (0) | 2025.02.05 |
[2025년 2월 3일] 2월 첫날부터 트럼프의 허풍이 시작되다 (3)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