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는 관세가 협상용이 아니라고 주장했지만, 결국은 우방국에게 무언가를 얻어내기 위한 협상 카드로 보입니다.
이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의 행동과 동일했습니다.
트럼프는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말과 행동을 자주 바꿨으며, 강경한 태도를 보이다가도 경제 상황이나 선거를 고려해 유예하거나 완화하는 전략을 사용했습니다. 특히 중국이 강하게 반발할 때는 일부 조치를 연기하고, 선거를 앞두고는 대중 강경책을 더욱 강조하는 방식을 보였습니다. -트럼프 1기 행정부에 대한 평가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를 1개월 연장하였고 정책을 폐기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트럼프는 계속 관세를 이용해 상대 정부를 흔들 것입니다. 국제 금융시장은 트럼프의 입에 따라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줄 것입니다.
오늘의 지표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50.3으로 간만에 50을 넘겼습니다.
내일의 지표
JOLT 구인 지표
공장주문(Factory Orders)
지수와 변동성
Dow Jones: -0.28%(-7.24%)
Nasdaq: -1.20%(-5.71%)
S&P 500: -0.76%(-32.09%)
전 거래일 대비 13.33%만큼 상승
거래량 감소, 빅스 지수 증가로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관세가 폐지된 것이 아니라 유예였고, 중국에 대한 관세는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마땅한 방법을 찾기 어렵습니다.
상승, 하락 주식 수
많은 주식들이 하락했으나 거래량이 증가하지 않았으므로 주식시장의 위험성은 예상보다는 낮았습니다.
결론
결론적으로는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는 허풍이 많이 섞인 것으로 보입니다.
안전자산으로 도망갈 준비를 했던 투자자들이 다시 미국주식시장으로 복귀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변덕이 심한 트럼프 때문에 주식시장이 많이 흔들릴 것 같습니다.
앞으로 발표될 경제지표를 깊게 분석하여 미국 경제 방향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느껴집니다.
'시장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2월 7일] 좋지않은 지표에 3대지수 모두 하락 (1) | 2025.02.08 |
---|---|
[2025년 02월 04일] 반등했지만 조심스러운 모습 (0) | 2025.02.05 |
[2025년 1월 31일] 트럼프 관세에 놀란 시장 (5) | 2025.02.02 |
[2025년 1월 30일] GDP 예측하회, 거래량 감소. 안전자산 투자처 찾기. (1) | 2025.01.31 |
[2025년 1월 29일] 파월도 바꾸지 못한 주식시장의 흐름 (3)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