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장동향

[2025년 1월 31일] 트럼프 관세에 놀란 시장

오늘의 시장 개요

이전에 12월 PCE 물가는 중요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왜냐하면 앞으로 관세가 물가를 올릴 주범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전달 물가지수 보다 향후 물가지수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는 GDP를 낮추고 주식시장의 상승을 제한할 것으로 보입니다.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선언에도 주식시장은 초반에 상승했습니다. 루이터가 관세에 예외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하면서 주식시장이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듯 하였으나, 행정부가 거짓이라고 말하며 관세 부과를 확정지으면서 주가는 즉시 하락했습니다. 

이는 관세에 대한 공포가 주식시장을 하락장으로 몰고갈 것임을 알려줍니다. 

 

오늘의 주요 이벤트

트럼프 행정부가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 10%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다. 

(미국시간 2월 1일 서명하여 시행됨) 

 

2025.01.24 - [분류 전체보기] - [2025년 1월 23일] 주가 상승, 거래량 하락. 다음 주 FOMC가 중요

 

[2025년 1월 23일] 주가 상승, 거래량 하락. 다음 주 FOMC가 중요

오늘의 시장 개요지수는 상승했으나, 거래량이 대폭 하락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관세를 언급했고, 미국 연준(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주장에 주가

macroinvestmentusingpy.tistory.com

'경제학자들이 예측한 트럼프 시기의 경제 방향' - 월스트리트 저널(23일 시장지표)

경제학 전공이지만, 경제학자들이 미래 경제를 잘 맞추지는 못합니다. 인플레이션과 금리를 예상할 수 있다면 굳이 학교에 있을 필요가 없다고 말씀하시는 교수님도 계셨습니다. 그래서 이 뉴스는 참고용 입니다. 

올해 초, 월스트리트 저널은 경제학자 73명에게 향후 물가와 GDP, 고용에 대한 질문을 했다. 
경제학자 대부분은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것이라 생각했다. 아주 소수만 물가가 하락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경제학자들의 인플레이션 예상 평균은 이전 2.3%에서 2.7%로 상향되었다. 
65%의 경제학자들은 트럼프 관세가 물가를 0 ~ 0.4% 증가시킬 것이라 생각했고, 관세로 인한 GDP 영향은 66%가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거의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이 미국의 경제 성장이 둔화될 것이라 전망했다. 성장률이 3%에서 2%로 하락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1월 경제 침체 가능성은 22%로 3년 간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 월 스트리트 저널
Where Economists Think the Trump Economy Is Headed,
By Paul Kiernan, Peter Santilli and Anthony DeBarros

다음주 지표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 예측치는 전월과 유사한 48.3을 예상(50보다 낮으면 나쁨)

 

지수와 변동성

Dow Jones: -0.75%(7.63%) 

Nasdaq: -0.28%(11.78%) 

S&P 500: -0.50%(-24.11%)

괄호는 거래량.

 

이미 알고 있는 정보인 관세 부과를 앞두고 주식시장이 상승하는 척 하다가 하락하는 그림은 대형 투자자들이 개인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떠넘기는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루이터 통신의 가짜뉴스('관세에 예외가 있을 수 있음'이라는 가짜뉴스) 또한 노이즈를 높여서 개인투자자를 혼란스럽게 했습니다. 

 

VIX 지수 역시 하락에서 상승세로 전환되었고, 앞으로 변동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일 대비 3.72% 상승

주식과 ETF의 변화

전형적인 하락장 모습을 보이며 살아남은 종목이 거의 없었고, 주식은 대다수가 하락했습니다. 

가장 많이 하락한 종목은 에너지(XLE, -2.8%) 입니다. 

63% 감소는 근래 가장 높은 수치이며, DeepSeek 발 파장 당일보다 많은 주식이 감소한 것입니다. 지수는 약간 하락했지만, 주식시장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결론

트럼프 관세가 상대방의 보복관세로 이어지고, 트럼프가 보복을 다시 선언하면 주식시장에서 매수 포지션은 갖지 않는게 나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딱히 투자할 종목도 없어집니다. 한국인의 경우 금이나 엔화를 사면 어느정도 방어할 수 있으나, 바꾼 달러의 투자처가 예금 혹은 주식시장 하락(Short) 포지션 말고는 답이 없어 보입니다. 

 

미국 채권은 단기수익률은 포기하는게 좋습니다. (이자를 주기 때문에 이자를 받겠다는 심산이면 이익 볼 수 있음) 

미국이 부여하는 관세는 미국 달러의 가치를 높이는 경우가 많은데, 경제학적으로 확실한 건 아닙니다. 

오히려 중국이나 인도가 혜택을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이들 국가는 주식시장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중국은 현재 상황이 나쁘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안정적으로 투자하기 어렵습니다. 

금은 이럴 때 안전자산으로 보이긴 하지만 너무 많이 오르기도 했고, 글로벌 금융위기처럼 파산이 갑자기 일어나면 하락하기도 합니다. 그러니 레버리지 금 투자는 안 하는게 좋습니다. 

 

결론은 투자자들의 돈이 갈 곳이 없다는 것입니다. 다음 주 주식시장은 거래량을 중점으로 살펴보아야 합니다. 월요일은 하락으로 시작할 가능성이 높은데, 거래량이 같이 상승하면 대형투자자들이 떠넘기는 행위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태가 반복되면 긴 하락장이 다가올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