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방향성
[미국 캘리포니아 대형 산불에 대한 영향 1월 13일]
: 보험관련 부분에서 하락이 있었습니다. 재난 상황에서도 투자자들은 상승 종목을 열심히 찾았습니다. 기초 원자재, 주택 건설 등에서 상승이 있었습니다. 이외에도 어떤 종목이 수혜를 볼 지 생각해 봅니다.
2. 발표될 지수
미국 생산자 물가지수: 한국시간 화요일 밤 10시 30분
예측치는 전월과 동일한 0.4%
예상보다 상승 시 채권 금리와 달러가 상승할 수 있고 하락 시 나스닥과 같은 시장은 상승 가능성이 전망 됩니다.
개인적 의견으로는 생산자 물가가 하락하기 어렵습니다. ISM제조업 비제조업 모두 생산자 물가가 올랐기 때문입니다.
3. 지수의 변동과 거래량
2025년 01월 13일
Dow Jones 지수는 0.86% 상승 했습니다.
Nasdaq 지수는 -0.38% 하락 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0.16% 상승 했습니다.
거래량은 3대 지수 모두 감소했습니다.
2년 평균 VIX 지수는 16.07 입니다.
1년 평균 VIX 지수는 15.83 입니다.
6개월 평균 VIX 지수는 17.79 입니다.
3개월 평균 VIX 지수는 16.86 입니다.
2025년 01월 13일의 VIX 지수는 19.19 입니다. 이는 전일보다 1.79%만큼 하락한 것입니다.
4. ETF 분석
상승종목: 안전자산이라 불리는 종목에서 상승했습니다. 리스크에 민감한 나스닥지수 홀로 하락하고 두 지수가 상승했다는 것 만으로도 유추할 수 있었습니다.
XLB; 원자재(2.23%), XLE; 석유 및 천연가스(2.10%), XLV;제약회사(1.30%), VNQ; 부동산(1.23%), XLI; 산업, 중장비 등(1.17%), XLF; 금융(0.72%), XLY; 소비 필수재(0.57%)
캘리포니아 산불에 관련하여, 원자재, 부동산 건설, 산업 부분에서 상승했음을 알 수 있으며 산불이 더 심해지면 추세를 따라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기 변동성 주의)
하락종목: 하락의 이유는 각 종목 당 다양했습니다.
VGT; 정보기술은 불안전한 자산군이기 때문에 하락(-0.82%), XLU;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 전기 등을 만드는 비용이 증가(-1.16%), BLOK; 블록체인과 양자 기술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있었음(-1.60%), GDX; 금 가격 하락(-1.64%)
5. 결론
미국이 러시아 원유와 가스를 규제하면서 에너지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캘리포니아 산불로 피해를 본 종목과 기대를 갖는 종목이 있었습니다.
가스 가격이 오르자 질산칼륨 비료를 만드는 CF의 주가가 5% 이상 상승하였습니다. 비료 가격 상승이 전망되자 비슷한 업종이지만 모자이크 티커:MOS 라는 비료 회사도 상승했습니다.
산불로 주택이 많이 불타자 주택 개발 회사 D. R. Horton 과 Lennar(LEN )의 주가가 약간 상승했습니다. 화재가 진압되지 않으면 더 상승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참고로 Lennar는 전년분기와 전분기 수익이 모두 25퍼센트 이상 증가한 회사입니다.
추가로, PulteGroup, Toll Brothers 등도 주택 건설사입니다.
고급 건축물이 전소되면 주택 관련 고급 장비도 다시 설치해야 합니다.
Generac Holdings는 중산층 이상의 주택에 대기 발전기를 판매합니다. 집을 재건하면 수요도 늘어날 것입니다.
모토로라(MSI) 와 시스코(CSCO)는 스마트 시티에 필요한 장비를 공급합니다. 전소가 되면 이러한 기기를 다시 설치해야 합니다.
허니웰(HON)은 스마트 시티와 소방용구를 제조 판매합니다. 소방용수로 해수까지 사용하면 소방용구가 부식되어 바꿔야 합니다. 추가적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산불 뿐 아니라 오늘 나올 생산자물가지수도 꼭 살펴보기를 추천합니다.
'시장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월 17일] 예상보다 좋았던 지표와 트럼프 취임에 대한 기대감 (0) | 2025.01.20 |
---|---|
[2025년 1월 16일] 소비 감소가 끌어내린 주가 (1) | 2025.01.17 |
[2025년 1월 15일] 대박은 아니지만, 소비자 물가 지수에 안도한 시장 (0) | 2025.01.16 |
[2025년 1월 14일] 예상보다 좋은 생산자 물가. 이번에는 소비자 물가를 주목해야 (1) | 2025.01.15 |
[2025년 1월 10일] 미국 주식시장의 흐름과 투자 전략: “고용데이터에 대한 반응” (0)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