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의 경제지표
[생산자물가지수 호재]
전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했으나, 생산자물가지수는 0.2%로 전월대비 0.4%보다 낮은 값을 보여주었습니다. 전반적인 생산자 물가는 하락했습니다. 가장 크게 상승한 항목은 재화 항목의 에너지 가격이었고, 가장 크게 감소한 항목은 서비스 항목의 여행 관련 부분이었습니다. 주택관련 서비스에서도 하락이 있었습니다.
이외의 항목은 11월과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소비자 물가지수를 예측하기 매우 어렵고, 생산자가 소비자에게 가격을 전가했는지 여부는 결과가 나와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IBD(윌리엄 오닐의 신문) 경제 낙관지수 예측치 하회]
51.9로 전월 54와, 예측치 55보다 낮았습니다.
50 이상이면 현재 경기를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높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큰 비중을 둘 수준은 아니지만 소비자 심리 지수도 하락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추세는 잘 살펴야 할 것 같습니다.
2. 내일의 경제지표
[소비자물가지수] 중요성 ★★★★★
모든 투자자들이 이 지수만 기다리고 있습니다. 3대 지수의 변화량은 적었고 거래량도 감소했습니다. 이번 지표는 다음 소비 데이터까지 주식시장을 주도하게 될 것입니다.
3. 지수와 거래량
2025년 01월 14일
Dow Jones 지수는 0.52% 상승 했습니다.
Nasdaq 지수는 -0.23% 하락 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0.11% 상승 했습니다.
빅스 지수는 전일 대비 2.5% 하락했으나 평균 대비 매우 높은 수준이므로 투자에 주의해야 할 기간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보다 낮으면 빅스 지수가 내려가고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매우 높고
예상보다 높다면 큰 혼란에 빠질 것으로 보입니다.
거래량은 전일 대비 감소하였습니다. 투자자들이 소비자물가지수를 기다리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4. ETF 분석
지수가 크게 변하지도 않았고 이벤트도 없어서 중요한 변화는 없었습니다.
생산자 물가지수의 하회로 금리 걱정이 완화되어 금과 소형주 등에서 상승했고
캘리포니아 산불로 인해 원자재, 건설사, 산업장비 등의 종목이 상승한 것은 전일과 동일합니다.
하락종목도 특히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
5. 결론
한국시간 1월 15일 10시 반에 발표되는 소비자 물가지수를 주목하세요
거시경제 투자자들은 주요 지표가 나오는 전날 투자하는 것을 꺼립니다.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는 기조에서는 그다지 중요한 지표가 아니었으나, 금리를 동결할 계획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 지표가 다시 중요해졌습니다.
PPI를 예측하지 못했지만, CPI를 예측해야 한다면 1년 인플레이션은 현재 기관이 예상하는 수준(상승전망)일 것이라고 봅니다.
소비자 물가지수 예측치 하회: 나스닥, 건설사, 부동산, 소형주, 채권 등 대다수 종목 호재
소비자 물가지수 예측치 상회: 금융, 달러와 같은 예외를 빼면 심각한 악재
'시장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월 17일] 예상보다 좋았던 지표와 트럼프 취임에 대한 기대감 (0) | 2025.01.20 |
---|---|
[2025년 1월 16일] 소비 감소가 끌어내린 주가 (1) | 2025.01.17 |
[2025년 1월 15일] 대박은 아니지만, 소비자 물가 지수에 안도한 시장 (0) | 2025.01.16 |
[2025년 1월 13일] "캘리포니아 산불로 인한 희비" (0) | 2025.01.14 |
[2025년 1월 10일] 미국 주식시장의 흐름과 투자 전략: “고용데이터에 대한 반응” (0)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