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장동향

[2025 1월 21일] 생각보다 두렵지 않은 트럼프 정권의 첫날

1. 오늘의 동향

트럼프는 당선되면 관세를 높이겠다, 동맹에게도 할 말은 하겠다고 하더니, 막상 당선이 되니 부드러운 태도를 보였습니다. 다만 캐나다와 멕시코에는 관세 협박을 높였고, 중국에도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AI 관련 기업에 대규모 투자를 약속했고, 사면권을 남발하긴 했으나 무난한 첫 날을 지냈습니다. 

 

2. 앞으로의 방향성

빅스 지수가 하락한 점은 긍정적이나 거래량이 그다지 회복되지 않은 문제가 있습니다. 그리고 애플과 같이 중국 비중이 큰 회사 역시 타격을 입었습니다. 

전 고점을 뚫기 위해서는 거래량이 뒷받침 되어야 합니다. 

새로운 행정부 역시 돈을 푸는 것을 선언했기 때문에 주가가 오를 기회는 많습니다. 다만 인플레이션을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3. 지수와 변동성

 

2025년 01월 21일 Dow Jones 지수는 1.24% 상승 했습니다. 

Nasdaq 지수는 0.64% 상승 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0.88% 상승 했습니다.

 

 

빅스지수가 평균을 밑돌면서, 안정감을 찾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거래량이 큰 변화가 없다는 점이 확신을 갖기 어렵게 합니다. 

 

4. ETF

애플이 하락하여 정보주 ETF의 상승폭을 축소시켰습니다.

그리고, 트럼프가 코인을 선호하면서 블럭체인이 상승했습니다. 

신기하게도 안전자산과 투기자산이 동반상승했습니다. 

 

상승종목: 금, 코인, 산업재, 제약, 장기 채권 등 대부분

하락종목: 에너지 

 

5. 관심있는 종목

피터린치가 선호하는 재미 없는 주식 : CURI 

이 회사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고 스트리밍 하는 회사입니다. 

따분해 보이지만 꽤 안정적입니다. 

 

6. 향후 전망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의 Spencer Jakab 은 트럼프가 대공황을 불러온 후버 대통령의 후임이라고 비난합니다. 현재 P/E 비율이 그 어느 대통령보다 가장 높은 시기라는 것을 근거로 합니다. AI 관련 주식이 이익이 상승하고 있기는 하지만, 가격은 과대평가 되었다고 주장합니다. 언론사들은 트럼프를 비관하는 경향이 높았습니다. 

 

애플은 중국 매출이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에 하락했지만 넷플릭스와 항공사는 실적이 좋았습니다. 

세계 경제가 블럭화 되어도 살아날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투자할 때 P/E 비율도 확인해야 합니다. 현재 평균 P/E 비율은 역사상 고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