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석

[분석]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의 영향

1. 엔캐리 트레이드의 의미와 영향

  캐리 트레이드는 저금리로 자금을 빌려 위험 상품에 투자하는 투자 기법이다. 엔화는 국제적으로 안전한 자산임과 동시에 이자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캐리 트레이드의 대상 화폐로 사용되는데, 이것을 ‘엔 캐리 트레이드’ 라 한다. 일본에서 돈을 빌려 달러나 다른 화폐로 환전하여 그 국가의 자산에 투자하기 때문에 엔화의 가치가 하락하고 주식시장은 호황이 된다. 

  그러나, 경제 상황이 위험하다 판단되면 엔 캐리 트레이드를 청산(unwind) 하는데, 8월 5일 세계 증시가 급락한 이유는 8월 초에 발표된 자료들이 침체를 암시하였고 일본은행이 금리를 올림에 따라 두려움을 느낀 투자자들이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을 했기 때문이다. 환전 했던 자산에서 돈을 빼고(주가 하락), 엔화로 다시 환전(엔화 가치 상승) 하면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컸다. 

 

2. 역사적 사건과 유사성 분석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문제가 된 경우는 2007~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건의 전후와 2015년 말 ~16년 초 중국 증시 폭락 사건이 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건은 엔화 강세와 미국 증시 약세가 일어났으며 중국 증시 폭락 사건은 엔화와 미국 증시 모두 강세를 보였다.  

위 그래프는 2005~2009년 서브프라임 사건 전후의 달러/엔과 S&P500 그래프를 100으로 두고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캐리 트레이드 청산은 2007년 중반(7월)에서 시작하여 2008년 서브프라임 사건이 일어난 후 대량으로 이루어졌다. 위 자료를 보면, 엔화와 미국 주식이 상당히 유사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2005년에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직전까지는 엔화와 미국 주식의 상관성이 높았다.

  이와 반대로 2015~16년 중국 주식 하락은 엔화가치가 올라가는 영향을 주었으나 세계 시장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했는데 이는 미국 경제 상황과 관련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2015년과 16년에는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되고 중국 주식이 하락하며 미국에도 영향을 주었지만, 2016년 말에 미국의 고용 지수가 좋았기 때문에 미국 증시는 호황을 맞을 수 있었다. 

 

3. 미국 실업률과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고용보고서는 미국의 연방준비위원회가 금리 결정에 있어 물가(CPI)와 함께 가장 중요한 지표로 삼고 있다. 실업률(unemployment)의 상승은 금리 인하를, 물가 상승은 금리 인상을 예상하게 한다. 

  실업률 자료에서 2007년과 현재 2024년의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향후 실업률은 예상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유념해야 한다. 

  2007년과 2008년의 실업률은 계속 우상향했다. 2007~2008년에 엔 캐리 트레이드 문제는 2007년 7~8월과 2008년 3월(베어스탠스 파산), 9월(리먼 브라더스 파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이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기간 실업률은 계속 올랐다.

3달 연속으로 2007년 실업률이 3개월 연속으로 상승하자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있었고, 2008년에는 4월부터 사실상 연속적으로 실업률이 크게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2007년 초에 엔화를 사 둔 사람은 2008년 언제 매도를 해도 수익을 낼 수 있었다. 

 

4. 2024년 현재의 투자에 적용하기 

  2024년 8월에 발표된 7월 실업률은 4.3%로 이는 5개월 연속 상승한 것이다.

2024년 실업률은 상승추세로 나쁜 징조가 보이고 있다.

국제 금융시장은 미국이 침체 위험에 있다고 판단하여 엔 캐리 트레이드를 청산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 파장은 잠시 멈추었지만, 미국 실업률이 계속 오르는 추세에 있다면 엔화가 더 이상 전 저점 보다 떨어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한다. 

 

5. 결론

  엔 캐리 트레이드를 청산하면 엔화는 상승하고 주식시장에 큰 변동성이 생긴다.(하락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실업청구 건수가 예상 하회하여 주식이 약간 상승했지만 아직 안심해서는 안 된다. 실업률이 계속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목요일 상승장에서 거래량이 오히려 하락한 것을 생각하면 아직은 추세가 상승 추세는 아니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