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장동향

[25년 5월 23일] 유럽 관세 50% 부과 가능성에 주식시장 하락

  • EU와의 협상이 잘 풀리지 않자, 트럼프는 관세를 50% 부과하겠다고 협박했다. 이에 유로스톡과 미국 주식시장이 동반 하락했다. 
  • 유럽 집행위원회는 즉시 반응하기 보다는 기다리는 전략을 선택했다. 그리고 협상이 잘 풀리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보복 관세도 준비하였다. 
  • 따라서 6월 1일부터 미국이 관세를 부과한다면 유럽이 보복하면서 중국과의 갈등 처럼 단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뉴스 - 미국의 협상력 부재 

 “트럼프, 글로벌 무역 전쟁 재점화” - POLITICO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EU와 스마트폰 제조업체를 상대로 새로운 고율 관세를 예고하며 글로벌 무역 전쟁을 다시 시작함.

 

  • EU에 50% 관세 부과 예고: 무역 협상이 지지부진하자 트럼프는 더 이상 합의를 원하지 않는다며 유럽연합 전체를 관세 대상으로 지목.
  • 스마트폰 제조사에도 25% 관세 부과: 애플이 아이폰을 미국 내에서 제조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애플 및 삼성 등 전반적 스마트폰 제조업체에 대해 관세 부과 방침.
  • 협상 지연에 대한 불만: 트럼프는 EU가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며 실망을 표했고, 백악관 내부에서도 협상 지연에 대한 불만 고조.
  • 무역수지 적자가 동기: 미국은 EU로부터 5,760억 달러를 수입하고 3,670억 달러를 수출, 연간 2,080억 달러 적자가 주요 배경.
  • 국내외 시장 불안: 트럼프의 발언 이후 미국과 유럽 금융시장이 흔들림. 투자자들은 트럼프의 발언을 해석하며 혼란스러워함.
  • 트럼프의 발언 강화: “이제 내가 아는 방식으로 게임을 하겠다”, “나는 합의를 원하지 않는다”라고 밝히며 협상보다는 강경 대응 강조.
  • EU는 반발 중: EU는 “위협이 아닌 상호 존중이 필요하다”며 보복도 불사하겠다는 입장.

 

트럼프의 EU 관세 위협, 왜 터졌나? - WSJ

1. 🇺🇸 트럼프 행정부의 불만 폭발

  • 트럼프 대통령은 EU의 느린 협상 속도소극적인 태도에 불만.
  • 미국 측은 EU가 중국 견제에 협조적이지 않다고 판단.
  • EU는 건강·디지털 규제, 부가가치세(VAT), 스트리밍 서비스 수수료, 반독점 벌금 등에서 미국 요구를 거부.
  • EU는 회원국 간 의견 차이로 일관된 입장 내기가 느림 → 트럼프 측에서 답답함 호소.

2. 🔥 트럼프의 깜짝 조치

  • 6월 1일부터 EU 제품에 50% 관세 부과 경고 (Truth Social에 직접 게시).
  • 트럼프: “나는 협상할 생각 없다”고 단언.
  • 행정부: EU가 중국산 철강 등에 자체 관세 부과 약속을 하지 않아 불만.
  • 반면 영국은 미국 요구 수용 → 미·영 무역합의 체결.

3. 🇪🇺 EU의 대응

  • EU 무역 책임자: “무역은 협력으로 이뤄져야, 협박은 곤란하다.”
  • EU는 미국의 요구를 검토했지만, 중국과의 전면적 대립은 꺼림.
  • 특히 중국은 EU 수출의 주요 시장이라 고강도 대응은 부담.
  • EU 외교관: “SNS 글만으로는 미국의 진심을 파악할 수 없다.”

4. 📜 무역 협상의 현주소

  • EU는 중국 보조금에 대한 우려 공유 의사는 있었음.
  • 그러나 건강·디지털 규제나 VAT 변경은 거절.
  • 미국은 ‘경제 안보’ 명분으로 대중 압박 동참 요구 중.
  • EU는 협상이 결렬되면 최대 950억 유로(약 1,400억 달러) 상당 미국 제품에 보복관세 부과 준비 중.

 

미국은 유럽에게 중국을 견제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유럽은 굳이 동참하려 하지 않고 있다. 협상에서도 유럽은 미국이 원하는 안건은 제시하지 않았다. 갈등이 점점 심해지고 있으며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기 보다 보복하는 쪽으로 무게를 두고 있다. 

 

오늘의 이벤트

미국 주택 판매는 예상보다 높았으나, 하락했다. 10년물 채권 금리 급등으로 모기지 채권이 7%를 넘어섰기 때문에 주택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지수와 거래량

트럼프의 보복으로 선물시장이 크게 하락했으나 낙폭은 줄였다. 그러나 시장이 침체되고 있음은 달라지지 않았다. 

거래량은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었고, 사람들은 미국이 실제로 50% 관세를 유럽에 부과하기는 어려울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부과한다 하여도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 보고 있다. 

 

화폐

Currency Latest Day 3M 6M 12M
USD Index 99.11 -0.85% -7.03% -7.38% -5.36%
USD/KRW 1364.69 -1.21% -4.85% -2.21% -0.07%
USD/JPY 142.55 -0.91% -4.58% -7.66% -9.13%
EUR/USD 1.1369 0.77% 8.54% 8.85% 4.81%
USD/CNY 7.1793 -0.34% -0.98% -0.83% -0.86%
USD/CHF 0.8204 -0.96% -8.69% -7.70% -10.28%

미국 채권 이자율

경제 불확실성으로 주가가 하락했고, 채권 금리도 하락했다. 그러나 채권 금리는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이다. 이는 트럼프의 공격적 발언이 전혀 득이 없는 소리였다는 의미이다. 

 

개별 주식의 증가와 감소

조만간 업데이트 할 예정

 

결론

 

미국 달러가 약해지고 있다. 

미국 채권과 주식시장 모두 약세를 보이는 것은 자산이 미국에서 빠져나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미국은 국가의 위기를 해결하기 보다는 부채를 키워 당장의 위기를 모면하려고만 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쇼크가 다시 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투자에 주의가 필요하다. 새로운 투자처를 찾아야 할 필요성도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