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는 미국 시장에 대한 신뢰를 낮추는 결과가 되었다.
- 미국 10년물 국채가 4.5%를 넘어가자 트럼프가 관세를 유예한다고 말하면서 4.3% 대로 하락했다. 그러나 오늘 다시 4.43%로 오르고 있는데, 달러화 평가절하와 국채 금리 상승이라는 심각한 문제가 생긴 것이다.
- 어제의 상승에 대해, 주가조작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으며 오늘 주식시장도 하락했다.
- 무역전쟁에 대한 승리 가능성도 점점 낮아지고 있으며 미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뉴스
미국과 중국 간의 경제 전쟁이 본격화되며, 세계 경제 전반에 심각한 충격이 예상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최대 145%에 이르는 관세를 부과하며 양국 간 디커플링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는 미중 간 연간 약 5,820억 달러에 달하는 무역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미국 제조업체는 주문을 취소하고, 중국 공장들은 가동 중단 및 감원을 실시하고 있다.
미국 소비자들은 이미 지난 5년간 24% 오른 물가에 더해, 생활 필수품 가격 상승과 품목 축소를 겪게 될 수 있다. 중국 역시 미국 수출에 의존해온 만큼 큰 타격을 입고 있으며, 특히 제조업체들은 미국과의 거래 중단으로 줄도산 위기에 처해 있다.
세계는 현재 두 경제 대국 간의 “무질서한 디커플링” 과정에 직면해 있으며, 금융시장은 이미 불안정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는 무역적자 해소와 미국 내 제조업 회복을 목표로 하지만, 이는 소비자 부담 증가와 경기 위축이라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중국 경제 모델 자체의 전환이 요구된다. 수출 중심에서 내수와 복지 중심으로의 재편 없이는 중국의 지속 가능한 성장이 어렵다는 진단이다. 이번 관세 전쟁은 단순한 경제 충돌이 아니라 양국 경제 구조 전반을 재편할 수 있는 역사적 전환점이 될 수 있다.
기사 제목: The U.S. and China Are Going to Economic War—and Everyone Will Suffer
기자: Lingling Wei, Yuka Hayashi 외
언론사: The Wall Street Journal (WSJ)
날짜: 2025년 4월 10일
요약자: ChatGPT
지수와 거래량
주가는 널뛰기 중이다. 거래량은 어제의 긴급발표와 같은 큰 이슈가 없어 하락했으나 언제 어느방향으로 튀어오를지 알 수 없다.
Dow Jones: -2.50%
Nasdaq: -4.31%
S&P 500: -3.46%
Dow Jones
- 전일 대비 거래량 변화: -27.56%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33.64%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50.09%
Nasdaq
- 전일 대비 거래량 변화: -22.55%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22.21%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28.02%
S&P 500
- 전일 대비 거래량 변화: -49.46%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17.12%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10.62%
변동성
개별 주식의 증가와 감소
업종
금 | 5.04012% |
의료 관리 | 2.18269 |
법률 및 공공질서 서비스 | 2.127666 |
수자원 유틸리티 | 2.034768 |
기타 핀테크 인프라 | 1.827009 |
금 제외 귀금속 및 광물 | 1.750462 |
가정용 제품 | 1.295124 |
개인 생활 필수 용품 | 0.742797 |
식품 소매 및 유통 | 0.59897 |
제화 | -6.43258 |
반도체 장비 및 테스트 | -6.56715 |
타이어 및 고무 제품 | -6.98151 |
가정용 가구 소매 | -7.00503 |
가전제품, 도구 및 가정 용품 | -7.0391 |
장난감 및 어린이 제품 | -7.46479 |
오일 관련 서비스 및 장비 | -7.47901 |
오일, 가스 탐사 및 생산 | -7.6207 |
다각적 투자 서비스 | -7.62124 |
통합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 -7.7519 |
알루미늄 | -7.96557 |
항공사 | -8.89763 |
오일 및 가스 시추 | -11.9529 |
미국 채권 시장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 관심사가 미국 채권 수익률이 되었으니 추가하기로 했다.
채권수익률 상승이 너무 가파르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유예는 미국 채권과 달러에 대한 심각한 손실을 유발했다. 이제 관세를 철회하더라도 돌이킬 수 없는 신뢰 문제가 생길 것이다.
결론
일관적이지 않은 정책은 혼란을 유발하고 결국 신뢰문제로 번진다.
"4월 9일은 해방의 날, 관세를 통해 미국이 빼앗긴 걸 되찾겠다."는 말을 하고 24시간이 지나지도 않아 관세를 유예한 행동은 미국이라는 나라 자체에 대한 불신을 만들었다.
실제로 주가 조작을 하기 위함이었는지, 채권이 문제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이로 인해 유럽의 자금이 돌아갔고 엔화 역시 크게 절상되어 미국에서 자금이 빠지고 있다.
손바닥 뒤집듯 말을 바꾸는 태도를 이어간다면 중국과 무역전쟁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낮다. 국제 무역에서 파트너와의 신뢰가 왜 중요한지 다시금 깨닫게 된다.
'시장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4월 14일] 거래가 없는 상태로 회귀하다 (0) | 2025.04.15 |
---|---|
[25년 4월 11일] 변동성과 위험이 매우 큰 상황 (1) | 2025.04.12 |
[25년 4월 9일] 트럼프 한 마디에 뒤집어진 시장. 방향성은 미궁으로 (2) | 2025.04.10 |
[25년 4월 8일] 결국 하락마감한 주식시장. 전일 예상을 맞추다. (7) | 2025.04.09 |
[25년 4월 7일] 나스닥은 올랐으나 상승동력이 의심되는 날 (2)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