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장동향

[25년 4월 4일] 중국발 보복관세로 무너진 시장

  • 심각한 공포 수준으로 주식시장이 하락했다. 아직 침체가 온 것이 아닌데도 벌써부터 탈출러시가 일어났다. 
  • 선물시장은 중국발 보복관세가 발표되자 급락하기 시작했다. 희토류와 미국 기업과 거래 금지, 미국과 동등한 수준의 관세를 예고하면서 미중갈등이 가속화 되고 있다. 
  • 유럽연합이 과연 보복할지 안 할지가 중요해졌다.  
  • 공포지수는 8에서 4로 더 감소했다. 

 

오늘의 이벤트

실업률은 4.2%로 상승했으나 고용은 늘었다. 그러나 관세부과 이전의 사건이므로 투자자들은 이 지표를 완전히 무시했다. 

지수와 거래량

지수가 대폭 하락하고 거래량 역시 크게 늘어난 진짜 폭락장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Dow Jones: -5.50%

 Nasdaq: -5.82%

S&P 500: -5.97%

 

 

Dow Jones

  - 전일 대비 거래량 변화: 36.96%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91.23%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97.76%

 

Nasdaq

  - 전일 대비 거래량 변화: 16.67%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40.91%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41.13%

 

S&P 500

  - 전일 대비 거래량 변화: 22.79%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63.62%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72.97%

 

변동성

개별 주식의 증가와 감소

 

 

업종

살아남은 업종이라고 해도, 전일 큰 하락을 만회하는 수준이다. 

주택 건설 3.491311
컴퓨터 및 전자 제품 소매 3.385274
제화 3.229382
가정용 가구 소매 1.611697
채굴 지원 서비스 및 장비 1.388216
의류 및 액세서리 1.070038
의류 및 액세서리 소매 0.116762

 

오일, 가스, 금 부분에서 큰 하락이 있었다. 원자재 시장이 크게 무너지고 있다. 

통합 오일 및 가스 -7.98466
손해보험 -8.06807
자동차 및 트럭 제조 -8.1298
오일 및 가스 수송 서비스 -8.19798
항공우주 및 방위 -8.37701
다각적 채굴 -8.40815
생명 및 건강 보험 -8.5158
기업 금융 서비스 -8.73328
-9.0251
중전기장비 -9.38276
알루미늄 -9.41005
다각적 화학 산업 -9.51383
직물 및 가죽제품 -9.56379
다각적 투자 서비스 -9.94576
오일, 가스 탐사 및 생산 -10.0865
특수 채굴 및 금속 -10.7402
금 제외 귀금속 및 광물 -10.7651
오일 관련 서비스 및 장비 -11.4468
오일 및 가스 시추 -15.101

뉴스

파월, 트럼프 관세 인상에 따른 경제 영향 경고

 

1. 인플레이션 재상승과 성장 둔화 경고

연준 의장 **제롬 파월(Jerome Powell)**은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예상보다 큰 규모의 관세 인상으로 인해, 미국 경제가 높은 물가와 낮은 성장이라는 압박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2. 금리 인하 ‘신중한 접근’ 시사

파월은 “현재로서는 금리 인하가 시급하지 않다”며 추가 경제 지표 확인 전까지는 금리 조정이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는 2019년 무역 전쟁 당시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렸던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3. 연준의 주요 관심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안정

연준은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실제 물가 상승을 유도할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으며, 이를 억제하는 것이 핵심 과제라고 밝혔습니다.

 

4. 시장 반응: 주가 급락, 금리 인하 기대 상승

중국이 동일한 수준(34%)의 보복 관세를 발표하자 시장은 급락했고, 투자자들은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반영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파월은 “현재 혼란은 금리 문제가 아니라 무역 정책의 영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5. 연착륙과 새로운 변수

연준은 2022~2023년 인플레이션 억제에 성공하며 경기침체를 피했지만, 이번에는 관세 충격과 인플레이션 상승이 동시에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전 연준 보좌관 Antulio Bomfim은 “이번에는 금리 인하가 늦게 시작될 수 있지만, 시작되면 강하게 인하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 출처

기사 제목: “Powell Warns of Higher Prices, Weaker Growth After Tariff Plan”

언론사: Wall Street Journal (WSJ)

기자: Nick Timiraos

작성일자: 2025년 4월

원문 링크: WSJ.com

📌 요약: ChatGPT (OpenAI, 2025년 4월)

결론

기술적 하락은 없었고 주가는 이틀 연속 대폭락 했다. 

나스닥은 곧 1년 최저점을 갱신할 것으로 보인다. 지수가 10,000에서 거의 20,000까지 올라오다 떨어지는 중이기 때문에 추가 하락 가능성이 있다. 

 

1차 경고점이었던 20% 하락이 일어났기 때문에 다음주는 '관세보복은 없다'는 가정 하에 이번주보다는 안정적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오늘 보여준 방향성이 매우 나쁘므로 섣불리 매수하는 것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금이 경제 위기 가능성이 높아지자 하락하고 장기채권은 인플래이션 우려로 인해 매수하기 껄끄러운 상황이 일어나고 있다. 

원자재, 주식, 채권, 외화 모두 투자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단기채권에 수요가 몰리고 있다. 

 

많이 떨어진 주식들을 매수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애플처럼 관세로 인한 피해와 상대국의 보복 가능성이 큰 기업은 단기적 경영이 매우 어려울 것이지만 사람들이 애플 제품을 좋아하기 때문에 주가가 많이 하락하면 오히려 매수해야 할 주식이다. 

그러나 지금 사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