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장동향

(57)
[25년 3월 17일] 매우 낮은 거래량, 반등 신호는 부족 오늘 시장은 상승했으나, 거래량이 매우 낮은 하루였다. 이는 다가올 FOMC가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FOMC가 끝나면 상승 또는 하락의 움직임이 매우 클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국 연준은 금리를 내릴 수도, 올릴 수도 없는 상황이다. 경제는 악화되고 있으나 무역전쟁으로 금리를 내리면 물가가 크게 상승할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 지수와 거래량지수는 약간 상승했으나 거래량이 너무 낮았다.  2025년 03월 17일Dow Jones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14.25%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7.62% Nasdaq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28.45%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29.66% S&P 500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43.08%  - 50일 평균 거래량..
[25년 3월 14일] 셧다운을 피하면서 상승한 증시. 문제는 거래량 오늘 시장은 부채상한에 대한 상원 투표가 통과될 것이라는 기대감과 저가 매수 세력이 들어와 크게 상승했다. 그러나 거래량이 충분하지 않아 그다지 긍정적이지는 않다고 생각한다.오늘의 이벤트부채상한에 대한 상원 투표는 통과되었다. 지수와 거래량거래량이 매우 낮은 날이었다. 거래 없이 주가가 올라갔기 때문에 일부가 시장을 조작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월요일 시장에 섣불리 매수하는 것은 위험하다.  Dow Jones: 1.65%(-7.19%)  Nasdaq: 2.61%(-10.29%) S&P 500: 2.13%(-39.99%) 2025년 03월 14일 Dow Jones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8.15%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1.05% Nasdaq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18..
[25년 3월 13일] 조정국면에 들어선 S&P 오늘 시장은 지표가 어제처럼 좋았으나, 유럽의 보복관세에 대한 미국의 재보복 예고와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의 휴전 협상에 실패하면서 하락했다. 연방정부 셧다운 가능성은 오늘 투표로 결정되는데, 민주당 상원의원의 선택에 달려있다.금이 역대 최고가인 1온스당 3천 달러를 돌파하면서 미국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오늘의 이벤트생산자물가지수와 실업수당청구건수는 예측치보다 좋은 값을 보여주었으나, 관세에 대한 두려움으로 그다지 영향을 주지 못했다.내일의 이벤트연방정부 부채 상한에 대한 상원의원 투표지수와 거래량거래량이 급락하며 주가가 하락했기 때문에 부채한도에 대한 결과를 기다리는 것으로 해석된다. 잘 해결된다면 금요일 주가는 상승할 가능성이 높으나, 이 역시 거래량을 살펴봐야 한다.  Dow ..
[25년 3월 12일] 나스닥은 반등했으나, 상승세 지속 여부는 불확실하다. 오늘 시장은 생각보다 낮은 물가지수 덕분에 나스닥이 상승했다. 그러나 장기 채권 금리는 오히려 상승했고, 금도 상승하였다. 위험 선호 심리가 약간 살아났으나, 거래량에 반영되지는 않았다.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상승하지 않아 지금은 위험한 시기라고 여겨진다.  오늘의 이벤트소비자물가지수 2025.03.12 - [거시경제 지표/미국 지표] - [25년 2월 CPI] 예측치 하회, 단기적으로는 긍정적, 장기적으로는 글쎄.내일의 이벤트생산자물가지수, 실업수당청구 지수와 거래량Dow Jones: -0.20%(-13.98%)  Nasdaq: 1.22%(-15.59%) S&P 500: 0.49%(-16.10%) 거래량이 전일보다 감소하면서 증가했기 때문에 그다지 좋은 상승이라 평가하기 어렵다.  Dow Jones  -..
[25년 3월 11일] CPI 를 앞두고 잠시 정지 지난날의 큰 하락이 있으면 일반적으로 '기술적 반등'이 나와야 하는데, 트럼프가 캐나다를 압박하고 미국 부채 한도에 대한 갈등이 커지면서 기술적반등이 실패한 날이 되었다. 거래량은 모든 지수에서 감소했는데 이는 12일에 발표되는 소비자물가지수 때문으로 보인다. 소비자물가지수의 예측치를 하락으로 예상했기 때문에 결과에 따른 변동성이 매우 클 것이다.  내일의 이벤트소비자물가지수: 한국시간 12일 오후 9시 30분 지수와 거래량Dow Jones: -1.14%(-1.43%)  Nasdaq: -0.18%(-7.23%) S&P 500: -0.76%(-35.83%) Dow Jones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32.27%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40.83% Nasdaq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2025년 3월 10일] 사실상 전멸. 경기 침체 가능성 증가 트럼프 행정부 외교와 관세정책 실패를 예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오늘 나스닥 지수가 4% 급락했다. 이는 하락장의 신호탄이라 할 수 있다. 하락장에서 보면, 거래량이 높은 수준이었는데 지수가 급락했다. 그러나 제약, 소비 필수품을 사업으로 하는 대기업은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이 매우 낮았는데, 이것이 나스닥은 4% 하락했는데, 다우존스 지수가 2% 정도 하락한 이유이다. 진정한 하락은 이들 업종마저 하락할 때 일어난다. 공포 수준이지만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지 현실에 닥친 위기는 아니라는 것이다. 이 약간의 희망이 절망이 될지, 빛이 될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수요일 물가지표가 나오면 알 수 있을지도 모른다. 지수와 거래량 (괄호는 전일 거래량 대비)Dow Jones: -2.08%(10.05%)  Nasd..
[25년 3월 7일] 제롬파월이 공포에 빠진 시장을 진정시키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에 급격히 하락하던 주식시장은 제롬파월의 발언으로 약간 진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고용데이터는 생각보다 정상적이었다. 제롬파월 역시 고용시장은 현재 튼튼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물가는 상승 압박이 있다고 했다. 결국 물가지표가 다시 오르느냐가 중요한 문제가 될 듯.  오늘의 이벤트실업률이 4.1%로 발표되면서 전월 4.0%보다 약간 상승하였다. 그러나 고용데이터가 엄청 나쁘다거나 하지는 않았다.  트럼프는 캐나다에 보복관세를 언급했고, 제롬파월은 정치적 리스크가 높아졌으나 현재 경제는 안전하다고 말했다. 지수와 거래량Dow Jones: 0.52%(18.57%)  Nasdaq: 0.70%(-5.24%) S&P 500: 0.55%(-23.34%) Dow Jones  - 20일 평균 거래..
[25년 3월 6일] 관세정책 변경에 급락한 시장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일관성이 없어 주식시장이 크게 하락했다. 하락은 트럼프가 멕시코와의 협정을 채결한 항목은 관세를 유예하겠다는 말을 한 직후부터 하락했다.  오늘의 이벤트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예측치를 상회했다. 노동 생산성은 예측치를 초과했고 노동 비용은 하회했다.  지표 자체는 예상보다 좋았다. 내일의 이벤트빅이벤트 중 하나인 고용데이터가 나오는 날이다. 예상치를 전월보다 좋을 것이라고 잡았기 때문에 예상치대로 나올지 의문이 있다. 지수와 거래량다우존스 거래량은 늘고, 대부분 주식의 거래량은 낮은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Dow Jones: -0.99%(10.57%)  Nasdaq: -2.61%(-3.84%) S&P 500: -1.78%(-36.82%) Dow Jones  - 20일 평균 거래..
[25년 3월 4일] 지표 발표 전까지 조심하는 시장 관세부과가 확정되면서 각국의 보복관세도 이어졌다. 이로인해 주가가 하락했다. 거래량이 낮고,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에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번주 금요일 고용지표와 다음주 물가지표가 주식시장을 뒤흔들 것이다. 이때까지는 거래량이 낮은 상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주가의 변동성도 심할 것으로 보인다.  내일의 이벤트ISM 비제조업 지수지수와 거래량Dow Jones: -1.55%(11.51%)  Nasdaq: -0.35%(-10.53%) S&P 500: -1.22%(-24.36%) 다우존스에서 거래량 상승과 주가 하락이 일어났고, 이는 대형주에서 매도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Dow Jones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27.63%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28.29% Nasdaq  - 20..
[25년 3월 3일] 관세가 시작되면 더 큰 하락이 예상된다. 오늘 시장은 관세가 거의 확실시 되면서 하락했다. 한국 시간으로 오후 2시가 넘으면 관세가 시작된다고 한다. 관세가 제조업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ISM 보고서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미국 경제가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오늘의 이벤트ISM 제조업지수는 가격만 오르고 고용과 신규구매가 하락했다. 많은 업종이 관세에 대한 두려움을 보여주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제조업을 살리겠다는 내용과 정반대의 상황이다. 2025.03.04 - [거시경제 지표/미국 지표] - [2월 ISM 제조업 지수] 업종별 상황내일의 이벤트지표는 딱히 중요한 것은 없으나 미국 시간으로 3월 4일부터 관세가 시행된다고 한다.거의 확정적이나 트럼프가 말을 잘 바꾸는 성격이라 기다리고 있다. 지수와 거래량지수는 크게 하락했으나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