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예상
사람들은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높은 고용과 강한 소비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금리 인상은 생각 밖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중국은 기준금리를 인하하였고, 유럽도 인상기조에서 멀리 떨어졌습니다. 따라서 미국도 결국 경기가 후퇴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1-1. 전략 구상
2월에는 금, 원유, 미국국채를 눈여겨 보고 있습니다.
2. 실제
금리동결, 3월 금리 인하 전망은 부정적이나 이후에는 인하할 가능성 존재
실업은 낮고, 인플레이션은 완화되었으나 아직 강하다.
미국의 은행 시스템은 튼튼하다. (은행 섹터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암시)
연방준비위원회는 경제 데이터와 전망, 리스크를 계속 살필 것이다. (금리 인하를 준비하기 위함)
그러나, 물가 상승률 2%라는 목표가 달성될 것이라는 확실한 증거가 필요하다. (너무 빨리 금리를 인하면 자산 가격의 거품과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임)
연준이 가진 모기지 담보물, 미국 국채를 계속 줄여나갈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한 의견을 여러 신문에서 찾아 볼 수 있었으나, 연준은 계속 줄이기로 결정)
2-1. 제롬파월의 주요 발언
정책금리는 정점에 다다른 것 같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금리 인상은 끝이라는 뜻)
금리 인하는 올해가 될 수도 있다.
필요하다면 이 수준의 금리를 한동안은 유지하고 싶다.
현재 수준에서 금리 인하는 너무 빨라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
고용이 약세를 보인다면 금리 인하 조치를 취해야 할 것 같다.
우리는 아직 연착륙(Sofe Landing)을 하지 않았다. 승리 선언은 이르다.
3. 전략
일반적으로 금리를 인하하면 큰 경제적 붕괴가 있었습니다. 대표적으로 닷컴 버블 붕괴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건이 있습니다. 이 시기 모두 문제는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었던 적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파월은 이전까지 연착륙을 강하게 주장했지만 오늘은 연착륙을 선언하기 이르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은행 시스템이 강하다는 부분은 이번 발표문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러한 점을 잘 살펴서 투자를 해야 합니다. 특히 중국은 문제가 생기면 설날 연휴 즈음에 발표하는 성향이 강해서, 설날 부분까지는 약세장에 배팅하려 합니다.
또한, 필자는 TLT를 매수하려 합니다. (장기 국채에 투자하는 상품) 그리고 금광 주식 ETF GDX를 매수하였습니다.
'거시경제 지표 > 미국 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MC] 2024년 5월 1일, 미국 금리 동결 (0) | 2024.05.02 |
---|---|
[GDP] 미국 1분기 GDP 1.6%(예측 하회) (2) | 2024.04.25 |
[미국]2024년 1월 고용데이터 (2월 2일 발표) (0) | 2024.02.02 |
[24년 1월 12일] 2023년 12월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 예측치 하회 (0) | 2024.01.12 |
2023년 12월 미국 CPI(1월 11일 발표): 예측 상회, 전 월/년 대비 상승 (0) | 2024.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