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행정부 외교와 관세정책 실패를 예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오늘 나스닥 지수가 4% 급락했다. 이는 하락장의 신호탄이라 할 수 있다. 하락장에서 보면, 거래량이 높은 수준이었는데 지수가 급락했다.
- 그러나 제약, 소비 필수품을 사업으로 하는 대기업은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이 매우 낮았는데, 이것이 나스닥은 4% 하락했는데, 다우존스 지수가 2% 정도 하락한 이유이다.
- 진정한 하락은 이들 업종마저 하락할 때 일어난다. 공포 수준이지만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지 현실에 닥친 위기는 아니라는 것이다. 이 약간의 희망이 절망이 될지, 빛이 될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수요일 물가지표가 나오면 알 수 있을지도 모른다.
지수와 거래량 (괄호는 전일 거래량 대비)
Dow Jones: -2.08%(10.05%)
Nasdaq: -4.00%(-8.30%)
S&P 500: -2.70%(-24.04%)
Dow Jones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37.86%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45.84%
Nasdaq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7.42%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5.53%
S&P 500
- 20일 평균 거래량 대비: -14.17%
- 50일 평균 거래량 대비: -4.79%
변동성
개별 주식의 증가와 감소
상승 | 하락 | 동일 | 상승 비율 (%) | |
Mega Cap (1T+) | 0 | 5 | 0 | 0 |
Large Cap (100B - 1T) | 24 | 90 | 1 | 20.86957 |
Mid Cap (20B - 100B) | 108 | 281 | 4 | 27.48092 |
Small Cap (3B - 20B) | 182 | 851 | 2 | 17.58454 |
Micro Cap (300M - 3B) | 235 | 1598 | 21 | 12.6753 |
Pico Cap (<50M) | 193 | 911 | 57 | 16.6236 |
Nano Cap (50M - 300M) | 210 | 1074 | 68 | 15.53254 |
ETF
강세 섹터 (방어주, 안전자산 중심)
• XLU (유틸리티) +1.10% → 대표적인 경기 방어 섹터
• TLT (장기 국채) +1.04% → 투자자들이 리스크를 회피하며 국채로 이동
• XLE (에너지) +0.74% → 시장 급락 속에서도 상승
약세 섹터 (기술·성장주 중심으로 하락 심화)
• BLOK(-9.11%), AIQ(-4.79%), CLOU(-4.56%), VGT(-4.48%)
→ 기술주, AI 관련주, 클라우드 종목 급락
• QQQ(-3.88%), CIBR(-4.02%) → Nasdaq 하락을 반영
• 소비재(XLY -3.57%), 커뮤니케이션(VOX -3.29%) → 성장주 섹터 전반적으로 약세
결론
수요일 물가지표의 예측치가 전월, 전년대비 하락할 것이라 발표했다.
물가지표가 부합하면 시장에 큰 상승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예측치가 맞을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 지난 달에도 예측치를 낮게 잡아두었으나 완전 틀렸었다.
물가지표마저 무너지면 하락이 매우 장기화 될 가능성이 높다.
오늘은 완전한 폭락장은 아니었기에 침체가 느려진다거나 어떤 좋은 신호가 있으면 바로 반등이 가능하다.
약간의 낙관이 화요일 시장이 멈추거나 약간 상승할 수 있게 할 가능성이 있으나,
특별한 이슈가 없다면 거래량은 높지 않을 듯 하다.
'시장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3월 12일] 나스닥은 반등했으나, 상승세 지속 여부는 불확실하다. (1) | 2025.03.13 |
---|---|
[25년 3월 11일] CPI 를 앞두고 잠시 정지 (2) | 2025.03.12 |
[25년 3월 7일] 제롬파월이 공포에 빠진 시장을 진정시키다 (0) | 2025.03.08 |
[25년 3월 6일] 관세정책 변경에 급락한 시장 (0) | 2025.03.07 |
[25년 3월 4일] 지표 발표 전까지 조심하는 시장 (0) | 2025.03.05 |